1983년 한국프로야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3년 한국프로야구는 프로야구 리그의 두 번째 시즌으로, 해태 타이거즈가 정규 시즌 통합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시리즈에서는 해태 타이거즈가 MBC 청룡을 4승 1무로 꺾고 우승했다. 이만수(삼성 라이온즈)는 MVP를, 박종훈(OB 베어스)은 신인왕을 수상했다. 주요 기록으로는 장명부(삼미 슈퍼스타즈)의 30승, 이만수의 70타점, 장효조(삼성 라이온즈)의 타율 0.369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야구 - 1983년 월드 시리즈
1983년 월드 시리즈는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4승 1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릭 뎀프시가 MVP를 수상했고 하워드 코셀의 마지막 월드 시리즈 중계로 기록되었다. - 1983년 야구 - 1983년 일본 시리즈
세이부 라이온즈가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꺾고 2년 연속이자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한 1983년 일본 시리즈는 총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세이부가 승리했으며 오타 다쿠지가 MVP를 수상했고 3경기의 시청률이 40%를 넘을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았다. - KBO 리그 시즌 - 2017년 KBO 리그
2017년 KBO 리그는 FA 제도 개편, 감독 교체, 비디오 판독 시스템 개선 등 변화 속에서 KIA 타이거즈가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선빈의 고타율, 최정의 홈런 및 장타율, 러프의 타점, 피어밴드의 평균자책점 등 주요 기록들이 나왔다. - KBO 리그 시즌 - 2000년 한국프로야구
2000년 한국프로야구는 현대 유니콘스가 우승하고 매직리그와 드림리그로 나뉘어 정규시즌이 진행되었으며, 현대 유니콘스가 통합 1위를 기록했지만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라이온즈에게 패해 준우승했다. - KBO 리그 - 키움 히어로즈
키움 히어로즈는 2008년 창단하여 KBO 리그에 참가하는 프로야구단으로, 네이밍 스폰서십을 통해 운영되며 서울 고척 스카이돔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정규 시즌 2위 3회와 한국시리즈 준우승 3회를 기록했다. - KBO 리그 - 롯데 자이언츠
롯데 자이언츠는 1975년 창단되어 1982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프로 야구팀으로, 1984년과 1992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KBO 리그에서 인기 있는 팀 중 하나이다.
1983년 한국프로야구 | |
---|---|
시즌 정보 | |
리그 | 한국프로야구 |
기간 | 1983년 3월 27일 ~ 1983년 10월 9일 |
참가 구단 수 | 6개 구단 |
경기 수 | 팀당 100경기 (총 300경기) |
정규 시즌 | |
우승 | 해태 타이거즈 |
포스트 시즌 진출팀 | 해태 타이거즈 (정규 시즌 1위) MBC 청룡 (정규 시즌 2위) |
한국시리즈 | |
우승 | 해태 타이거즈 |
준우승 | MBC 청룡 |
MVP | 김봉연 (해태) |
개인 기록 | |
평균 자책점 | 이선희 (해태) - 2.34 |
최다승 | 계형철 (삼성) - 16승 |
최고 승률 | 계형철 (삼성) - .762 |
최다 탈삼진 | 이선희 (해태) - 147개 |
타율 | 이만수 (삼성) - .340 |
홈런 | 김봉연 (해태) - 22개 |
타점 | 김봉연 (해태) - 74점 |
도루 | 김일권 (OB) - 44개 |
2. 1983년 프로야구 순위
1983년 한국프로야구는 전기리그와 후기리그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전기리그에서는 해태가 1위, 후기리그에서는 MBC가 1위를 차지했다. 통합 순위에서는 해태와 MBC가 같은 승수를 기록했으나, 승률에서 MBC 청룡이 앞섰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규정에 따라 해태 타이거즈가 우승했다.
2. 1. 통합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승차 | 기타 |
---|---|---|---|---|---|---|---|---|
1 | 해태 | 100 | 55 | 1 | 44 | 0.556 | 0.0 | 승차에서 뒤지고도 우승 |
2 | MBC | 100 | 55 | 2 | 43 | 0.561 | -0.5 | 승차에서 앞서고도 준우승 |
3 | 삼미 | 100 | 52 | 1 | 47 | 0.525 | 3.0 | |
4 | 삼성 | 100 | 46 | 4 | 50 | 0.479 | 7.5 | |
5 | OB | 100 | 44 | 1 | 55 | 0.444 | 11.0 | |
6 | 롯데 | 100 | 43 | 1 | 56 | 0.434 | 12.0 |
2. 2. 전기리그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1 | 해태 | 50 | 30 | 1 | 19 | 0.612 |
2 | 삼미 | 50 | 27 | 0 | 23 | 0.540 |
3 | MBC | 50 | 25 | 1 | 24 | 0.510 |
4 | 롯데 | 50 | 22 | 1 | 27 | 0.449 |
5 | 삼성 | 50 | 21 | 3 | 26 | 0.447 |
6 | OB | 50 | 22 | 0 | 28 | 0.440 |
2. 3. 후기리그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기타 |
---|---|---|---|---|---|---|---|
1 | MBC | 50 | 30 | 1 | 19 | 0.612 | |
2 | 삼미 | 50 | 25 | 1 | 24 | 0.510 | 삼미와 삼성은 공동 2위임 |
2 | 삼성 | 50 | 25 | 1 | 24 | 0.510 | 삼성과 삼미는 공동 2위임 |
4 | 해태 | 50 | 25 | 0 | 25 | 0.500 | 3위가 없지만 2위가 두 팀이므로 4위임 |
5 | OB | 50 | 22 | 1 | 27 | 0.449 | |
6 | 롯데 | 50 | 21 | 0 | 29 | 0.420 |
경기 득점 기록에서 ''기울임''은 홈팀을, '''진하게'''는 승리팀을 나타낸다.
3. 1983년 포스트 시즌
3. 1. 한국시리즈
1983년 한국시리즈는 10월 15일부터 10월 2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전기리그 우승 팀인 해태 타이거즈와 후기리그 우승 팀인 MBC 청룡이 맞붙었다. 해태 타이거즈가 4승 1무로 우승을 차지했다.
4. 1983년 팀별 기록 순위
1983년 한국프로야구에서는 각 팀별로 다양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팀별 타율, 평균자책, 득점, 실점, 홈런 개수 순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 1. 팀별 타율 순위
4. 2. 팀별 평균자책 순위
순위 | 팀 | 경기 | 평균자책 | 기타 |
---|---|---|---|---|
1 | MBC | 100 | 2.71 | 작년 팀 평균자책 1위 |
2 | 삼미 | 100 | 3.04 | 작년 팀 평균자책 2위 |
3 | 해태 | 100 | 3.17 | 작년 팀 평균자책 3위 |
4 | 삼성 | 100 | 3.42 | 작년 팀 평균자책 4위 |
5 | OB | 100 | 3.52 | 작년 팀 평균자책 5위 |
6 | 롯데 | 100 | 3.79 | 작년 팀 평균자책 6위 |
4. 3. 팀별 득점
순위 | 팀 | 경기 | 득점 | 기타 |
---|---|---|---|---|
1 | 삼성 | 100 | 448 | 작년 팀 득점 1위 (434점) |
2 | 해태 | 100 | 422 | 작년 팀 득점 2위 (419점) |
3 | OB | 100 | 418 | 작년 팀 득점 3위 (399점) |
4 | MBC | 100 | 412 | 작년 팀 득점 4위 (374점) |
5 | 롯데 | 100 | 365 | 작년 팀 득점 5위 (353점) |
6 | 삼미 | 100 | 346 | 작년 팀 득점 6위 (302점) |
4. 4. 팀별 실점
순위 | 팀 | 경기 | 실점 | 기타 |
---|---|---|---|---|
1 | MBC 청룡 | 100 | 335 | 작년 팀 실점 1위, 실점 257점 |
2 | 삼미 슈퍼스타즈 | 100 | 372 | 작년 팀 실점 2위, 실점 318점 |
3 | 해태 타이거즈 | 100 | 390 | 작년 팀 실점 3위, 실점 359점 |
4 | 삼성 라이온즈 | 100 | 418 | 작년 팀 실점 4위, 실점 385점 |
5 | OB | 100 | 432 | 작년 팀 실점 5위, 실점 388점 |
6 | 롯데 자이언츠 | 100 | 464 | 작년 팀 실점 6위, 실점 574점 |
4. 5. 팀별 홈런 개수
순위 | 팀 | 경기 | 홈런 | 기타 |
---|---|---|---|---|
1 | 삼성 | 100 | 90 | 작년 팀 홈런 개수 1위 84개 |
2 | 해태 | 100 | 78 | 작년 팀 홈런 개수 2위 65개 |
3 | 롯데 | 100 | 77 | 작년 팀 홈런 개수 3위 59개 |
4 | 삼미 | 100 | 62 | 작년 팀 홈런 개수 4위 57개 |
5 | OB | 100 | 50 | 작년 팀 홈런 개수 4위 57개 |
6 | MBC | 100 | 46 | 작년 팀 홈런 개수 6위 40개 |
5. 1983년 주요 기록
기록 | 날짜 | 선수 | 소속팀 | 기타 |
---|---|---|---|---|
한국 프로야구 최초 70타점 | 1983년 | 이만수 | 삼성 | |
한국 프로야구 최초 60득점 | 1983년 | 이해창 | MBC | |
한국 프로야구 최초 2년 연속 최고 부문 | 1983년 | 김일권 | 해태 | 도루 부문 |
한국 프로야구 최초 30승 | 1983년 | 장명부 | 삼미 | 1983년 이후 기록 없음 |
한국 프로야구 최초 200탈삼진 | 1983년 | 장명부 | 삼미 | |
한국 프로야구 최초 20SP | 1983년 | 황태환 | OB |
6. 1983년 최고 기록
1983년 한국프로야구에서는 투수와 타자 부문에서 다양한 최고 기록이 나왔다. 투수 부문에서는 삼미 슈퍼스타즈의 장명부가 30승, 220탈삼진, 427.3이닝으로 최다 승리, 최다 탈삼진, 최다 이닝을 기록했다. MBC 청룡의 하기룡은 평균 자책점 2.33으로 최우수 평균 자책점을, OB의 황태환은 20SP(구원승 6승+세이브 14세이브)와 14세이브로 각각 최우수 구원, 최다 세이브를 기록했다.
타자 부문에서는 삼성 라이온즈의 장효조가 타율 0.369로 수위타자가 되었고, 장효조와 OB의 박종훈이 117안타로 최다 안타를 공동 기록했다. 삼성 라이온즈의 이만수는 27홈런과 74타점으로 최다 홈런, 최다 타점을, MBC 청룡의 이해창은 65득점으로 최다 득점을 기록했다. 해태 타이거즈의 김일권은 48도루로 최다 도루를 기록했고, 장효조는 최고 장타율(0.618)과 최고 출루율(0.475)을 기록하여 OPS 1.093을 기록했다.
6. 1. 투수 부문 최고 기록
기록 | 선수 | 소속팀 | 기타 |
---|---|---|---|
최다 승리 투수 | 장명부 | 삼미 | 30승 (28선발승(선발 최다승)) 16패 |
최우수 평균 자책 | 하기룡 | MBC | 2.33 |
최다 탈삼진 | 장명부 | 삼미 | 220개 |
최다 이닝 | 장명부 | 삼미 | 427.3innings |
최우수 구원 | 황태환 | OB | 구원승 6승+세이브 14세이브=SP 20 |
최다 세이브 | 황태환 | OB | 14세이브 |
6. 2. 타자 부문 최고 기록
기록 | 선수 | 소속팀 | 기타 |
---|---|---|---|
최고 수위타자 | 장효조 | 삼성 | 타율 0.369 |
최다 안타 | 장효조, 박종훈 | 삼성, OB | 장효조는 삼성 소속, 박종훈은 OB 소속으로 117안타를 기록했다. |
최다 홈런 | 이만수 | 삼성 | 27홈런 |
최다 타점 | 이만수 | 삼성 | 74타점 |
최다 득점 | 이해창 | MBC | 65득점 |
최다 도루 | 김일권 | 해태 | 48도루 |
최고 장타율 | 장효조 | 삼성 | 0.618 |
최고 출루율 | 장효조 | 삼성 | 0.475 |
최고 OPS | 장효조 | 삼성 | 장타율 0.618 + 출루율 0.475 = OPS 1.093 |
7. 1983년 한국 프로야구 관중 현황
8. 1983년 수상 내역
1983년 프로 야구 개인 부문 수상자(MVP, 신인왕, 올스타전 MVP, 한국시리즈 MVP)와 골든 글러브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8. 1. 개인 수상
8. 2. 골든 글러브 수상자
9. 1983년 진기록 명기록
삼성이 OB전에서 8연속 안타를 기록하였다.[1] 롯데는 OB전에서 1안타로 승리하였다. 삼성은 해태전에서 한 이닝 최다 3루타 3개를 기록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